꿈별 아동발달/유튜브 대본과 영상

자폐 초기 증상, 병원에 가면 어떤 질문을 받을까?

꿈별 미야 2021. 2. 19. 10:26

 

https://youtu.be/x1ylWkeCi1w

안녕하세요. 꿈별아동발달에 미야입니다.
오늘은 자폐증상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해요.
여니가 어렸을 때, 여니가 다른 아이들과 다르다고 느껴서 병원에 가서 자폐 검사를 받았는데요.
그때는 여니가 말을 못하고 있을 때라서 부모인 저와 남편의 대답으로만 검사를 했었고,
그 때 했던 검사가 CARS였죠.
여니가 첫 아이라서 그랬는지, 저는 발달에 대해 잘모르고 그냥 키웠던 것 같아요.
그래서 의사 선생님이 질문하시는데, 그 질문을 잘 이해를 못하겠고, 생각도 안나더라고요.

그래서 이번 영상은 병원에 갔을 때, 받는 질문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준비해봤어요.
이제는 저기능, 고기능으로 나뉜 k-CARS2가 나와서 그것을 중심으로 살펴볼게요.
먼저 6세 미만의 아동 혹은 6세 이상이면서 측정된 IQ가 80 미만이거나 의사소통이 눈에 띄게 손상된 아동에게 시행하는 cars2-st항목입니다. K-cars2-st의 각각의 항목별 점수는 1점부터 4점까지이고 점수가 높을수록 전형적인 범위에서 더 심각하게 벗어난 상태를 뜻합니다. 15문항의 합이 15~29.5점은 자폐 아님, 30~36.5는 경도에서 증등도 수준의 자폐 범주, 37~60은 중도 수준의 자폐 범주를 나타냅니다.

1. 사람과의 관계
이 항목은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질문입니다. 타인에 대해 얼마나 관심이 있는지, 타인의 칭찬이나 비판에 대한 아동의 반응은 어떤지 살펴봅니다. 특별히 아동의 관심을 얻기 위해 다른 사람들이 얼마나 노력해야 하는지에 대해 기록합니다. 아동이 타인에 대해 무관심하거나 최소한의 접촉만을 한다면 전형적인 범위에서 벗어난다고 볼 수 있습니다.

2. 모방
모방은 크게 구어모방, 비구어모방 두 가지를 살펴보는데, 구어에는 간단한 소리나 긴 문장 반복하기를 포함할 수 있고, 비구어는 손이나 몸의 움직임, 가위로 자르기, 연필로 따라 그리기, 놀잇감으로 놀이하기 등의 모방을 포함합니다. 아동이 모방을 하지 않을 경우, 싫어서 하지 않는 것인지, 상대가 모방을 원한다는 것을 이해하지 못해서 모방하지 못하는 것인지를 구별해야 합니다. 또한 즉각적으로 모방이 발생하는지 지연된 후에 모방하는지도 살펴야 합니다.

3. 정서 반응
정서 반응은 아동의 정서나 감정이 상황에 적절한지에 대해 살펴보는 것입니다. 반응의 정도가 부적절하다는 것은 정서를 보여야 하는 상황에서 아무런 정서를 보이지 않거나 과잉반응을 보이는 것, 혹은 사소한 사건에 지나치게 불안해하거나 흥분하는 것 등을 포함합니다.

4. 신체 사용
신체 사용에서는 전형적인 아동의 행동에 비해서 특이한 행동들이 관찰되는지 묻는 질문입니다. 제자리 돌기, 앞뒤로 흔들기, 발끝으로 걷기, 이상한 손가락 움직임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행동이 얼마나 자주, 얼마나 오래 지속되는지, 강도는 어떠한지 살펴봐야 합니다.

5. 사물 사용
사물 사용은 놀잇감이나 기타 사물을 전형적인 방법으로 대하는지에 관한 질문입니다. 자동차를 굴리는 대신 바퀴를 돌리거나, 블록으로 다양한 구조물을 만드는 대신 한 줄로 늘어놓거나, 돌아가는 것에 대해 집착하거나, 반사되는 빛만 관찰하는 등의 반응을 보여 일상적이지 않는 방법으로 사물을 대하는지 기록합니다. 마지막으로 적절한 방법으로 사물을 사용하는 모습을 보여준 후, 아동이 따라서 그렇게 행동하는지를 살펴봅니다.

6. 변화에 대한 적응
기존의 일과나 패턴을 변화시키거나 하나의 활동에 집중하고 있을 때, 다른 활동으로 전환하는 데 있어서 어려움을 보이는지에 대한 항목입니다. 일과에 변화가 생기거나, 다니던 길이 아닌 다른 길로 갈 때, 아동이 가지고 있는 특별한 의식을 하지 못하게 될 때 등에서 아동이 보이는 반응을 살핍니다. 일상의 변화를 알아차리고 언급은 하지만 지나친 어려움 없이 수용하는 아이들은 낮은 점수를, 일상의 변화에 감정이 크게 동요하거나 활동의 변화를 시도할 때 이전의 활동을 놓지 못하고 주의를 전환시키기 어려움을 겪는 아이들은 높은 점수를 받게 됩니다.

7. 시각 반응
사물을 독특한 각도로 쳐다보거나, 일반적인 거리에서 볼 수 있음에도 사물을 눈에 아주 가까이 가져가는지, 허공을 멍하게 응시하는지, 사람을 볼 때 눈을 마주 보는 것을 피하는지, 눈의 한쪽 끝만을 이용해서 쳐다보는지, 아동의 관심을 얻기 위해 성인이 아동의 머리를 돌려주어야 하는지 등의 시각적 관심 양상을 살펴봅니다. 자폐 범주에 속하는 많은 사람들에게서 이러한 양상이 관찰됩니다.

8. 청각 반응
진공청소기, 세탁기, 지나가는 트럭에서 나는 것과 같은 일상적인 특정 소리에 대한 특이한 선호나 두려움을 고려합니다. 소리의 크기에 부적절하게 반응하는지, 다른 사람은 신경 쓰지 않는 평범한 소리에도 과민한 반응을 보인다든지, 소리를 만드는 사물에 대해 관심을 보이는 것이 아니라 소리 그 자체에 대해 귀를 막거나 하는 등의 부정적 반응을 하는 것인지를 관찰합니다.

9. 미각, 후각, 촉각 반응 및 사용
미각, 후각, 촉각에 대한 반응을 평가하고 이러한 감각 통로를 적절하게 사용하는지에 대해서 평가합니다. 특정 냄새, 음식, 맛, 질감에 대한 지나친 회피 또는 지나친 관심을 보이는지 고려해야 합니다. 먹을 수 없는 물건의 냄새를 맡거나 맛을 보지는 않는지, 탐구적인 빨기나 만지기 같은 행동을 하지는 않는지, 통증에 대해 잘 느끼지 못하거나 혹은 과하게 느끼는지 살펴봅니다.

10. 두려움 또는 불안
특이한 또는 설명할 수 없는 두려움에 대해 살펴봅니다. 이 항목을 평가할 때에는 반응의 빈도, 반응의 범위, 심각한 정도, 지속시간과 아동을 진정시키기 얼마나 어려운지에 관한 반응의 강도 등을 살펴봅니다. 유사한 두려움의 상황에서 더 어린 아동도 보이는 전형적인 반응보다 훨씬 더 많거나 적은 반응을 보이는지 관찰합니다.

11. 구어 의사소통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연령이 지났는데도 발생하는 경우 기록해야 할 세 가지 특이한 형태의 언어 특성은 대명사 반전, 반향어, 뜻을 알 수 없는 말(jargon)의 사용입니다. 구어 의사소통에 있어서의 문제는 무언 또는 발화 부족, 말 배우기 지연, 어린 아동과 같은 말 특성 사용, 독특하거나 의미 없는 방식의 단어 사용 등을 포함합니다.

12. 비구어 의사소통
얼굴 표정, 자세, 몸짓, 신체 움직임의 사용을 통한 비구어 의사소통에 의미를 담을 수 있는지를 평가합니다. 예를 들어 성인의 손을 잡고 자신이 원하는 사물로 끌어당기기는 하지만 그 이후 몸짓이나 가리키기로 원하는 것을 표현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자신의 의사를 비구어적인 표현으로 표현할 수 있는지 살핍니다. 또한 다른 사람의 비구어 의사소통에 대한 아동의 반응도 관찰합니다.

13. 활동 수준
활동 수준에는 과잉행동이나 또는 무기력이 이 평가 항목에 포함됩니다. 아동의 활동 수준의 지속성을 고려하여 지나치게 활동적인 경우라면 진정하거나 조용히 앉아있게 할 수 있는지, 반대로 무기력할 경우에는 좀 더 돌아다니도록 촉진할 수 있는지 관찰합니다.

14. 지적 반응 수준 및 일관성
언어, 수, 개념의 사용 및 이해뿐만 아니라 보거나 들은 것을 얼마나 잘 기억하는지 또는 어떻게 환경을 탐색하고 일이 진행되는 것을 알아내는지를 고려합니다. IQ 등의 지능 지수가 낮을수록 점수가 높아지는데 여기에서 한 가지 특이점은 한 가지 혹은 그 이상의 영역에서 평범하다고 여겨지는 기능적 수준을 넘어서는 높은 수준의 기술을 지녔는지에 대해 파악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읽기, 문자, 수 등에 있어 아동이 가진 지능과 상관없는 서번트적인 기술을 보이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15. 전반적 인상
이 항목은 앞의 14게 항목에서 정의한 자폐 정도에 대한 평가자의 주관적인 인상을 근거로 아동에 대한 전반적인 평정을 하며, 이 평정은 사례사, 부모 면담, 과거의 기록과 같은 아동과 관련된 가능한 모든 정보를 고려해야 합니다.

K-cas2는 이렇게 15가지의 항목으로 아동을 관찰하여 자폐 유무를 판단합니다. 이 영상은 아동의 자폐성 유무를 평가하는 검사지의 역할을 하기 위해 만든 것이 아니라, 검사 항목의 이해를 돕기 위해 만들었습니다. 자폐 유무 판단은 병원 및 관련 기관에서 전문가에 의해 판단되어집니다.

영상 아래에 병원이나 기관에 가시기전 집에서 활용해보실수있는 선별검사지를 첨부해드리겠습니다. 이 검사지는 주로 만 3세 이전 아동을 대상으로 시행을 하고, 늦어도 학령 전기 아동을 대상으로 합니다.

다음 영상에서는 고기능자폐를 판별하는 K-CAS2-HF형 검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M-CHAT-R_F_Korean.pdf
0.81MB